[고2] 2025년 03월 – 31번: 대중음악의 확산과 음악 접근성의 확대
The explosion of popular music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the global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music by the creative industries propelled a new understanding of accessibility in relation to music. Suddenly, in the 1950s, anyone could pick up spoons, a couple of pans, a second-hand guitar and start a band. This led to specific genres such as skiffle, but also, more generally, reflected a much more relaxed and inclusive attitude to music making. While ordinary people had always sung and made music, the popular music movement was driven by a spirit of rebellion and freedom. This approach led to the punk movement, whose musicians even made it a condition for their music to be non-virtuosic and accessible to all in the 1970s. Groups who had been entirely excluded from music revelled in opportunities to create. This led to a sense of novelty and empowerment in and beyond the music sphere.
구분 | 내용 | 원문 |
배경 설명 | 20세기 후반 대중음악의 폭발적 성장과 창의 산업의 글로벌 확산이 음악의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촉진했다. | The explosion of popular music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the global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music by the creative industries propelled a new understanding of accessibility in relation to music. |
예시 | 1950년대에 누구나 숟가락, 냄비, 중고 기타로 밴드를 시작할 수 있었다. | Suddenly, in the 1950s, anyone could pick up spoons, a couple of pans, a second-hand guitar and start a band. |
근거 | 이는 스키플과 같은 특정 장르를 탄생시켰으며, 전반적으로 음악 제작에 대한 더 자유롭고 포용적인 태도를 반영했다. | This led to specific genres such as skiffle, but also, more generally, reflected a much more relaxed and inclusive attitude to music making. |
근거 | 일반인들은 항상 노래하고 음악을 만들어왔지만, 대중음악 운동은 반항과 자유의 정신에 의해 추진되었다. | While ordinary people had always sung and made music, the popular music movement was driven by a spirit of rebellion and freedom. |
예시 |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70년대에 펑크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그 음악가들은 심지어 그들의 음악이 비전문적이고 모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 This approach led to the punk movement, whose musicians even made it a condition for their music to be non-virtuosic and accessible to all in the 1970s. |
근거 | 이전에 음악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던 그룹들이 창작의 기회를 누렸다. | Groups who had been entirely excluded from music revelled in opportunities to create. |
결론 | 이는 음악 분야 안팎에서 새로움과 권한 부여의 감각을 이끌어냈다. | This led to a sense of novelty and empowerment in and beyond the music sphere. |

문제 지문 | 원문 지문 | |
1 | The explosion of popular music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the global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music by the creative industries propelled a new understanding of accessibility in relation to music. | The explosion of popular music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the global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music by the creative industries propelled a new understanding of accessibility in relation to music. |
2 | Suddenly, in the 1950s, anyone could pick up spoons, a couple of pans, a second-hand guitar and start a band. | Suddenly, in the 1950s, anyone could pick up spoons, a couple of pans, a second-hand guitar and start a band. |
3 | This led to specific genres such as skiffle, but also, more generally, reflected a much more relaxed and inclusive attitude to music making. | This led to specific genres such as skiffle, but also, more generally, reflected a much more relaxed and inclusive attitude to music making. |
4 | While ordinary people had always sung and made music, the popular music movement was driven by a spirit of rebellion and freedom. | While ordinary people had always sung and made music, the popular music movement was driven by a spirit of transgression and freedom. |
5 | This approach led to the punk movement, whose musicians even made it a condition for their music to be non-virtuosic and accessible to all in the 1970s. | This approach led to the punk movement, whose musicians even made it a condition for their music to be non-virtuosic and accessible to all in the 1970s. |
6 | Groups who had been entirely excluded from music revelled in opportunities to create. | Groups who had been entirely excluded from music revelled in opportunities to create. |
7 | This led to a sense of novelty and empowerment in and beyond the music sphere. | As Pete Dale (2012) has shown, this led to a sense of novelty and empowerment in and beyond the music sphere. |
* 원문 참고 어휘
- transgression 일탈, 위반, 범죄 (= rebellion)
관련 자료 바로가기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 한줄해석
안녕하세요, Flow 영어연구소입니다. 2025년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의 한줄해석 자료 올립니다.설명문/실용문을 포함 모든 지문을 대상으로 작업했습니다. 자료는 PDF와 Word 파일 모두 올
flowedu.tistory.com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 한줄해석 (좌지문 우해석)
안녕하세요, Flow 영어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25년도 3월 고2 영어 모의고사>의 한줄해석(좌지문 우해석) 자료 올립니다.설명문/실용문 포함 전지문 작업했습니다. 자료는 PDF와 Word 파일 모
flowedu.tistory.com
[고1~고3] 2025년 3월 모의고사 - 지문 정리 (문제 제작용 hwp 한글 파일)
안녕하세요, Flow 영어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25년도 3월 고1~3 영어 모의고사>의 지문 텍스트만한글 파일 hwp와 pdf 파일로 정리해서 올립니다.변형문제 출제를 위해 해당 지문들을 hwp 한글 파일
flowedu.tistory.com
'[고2] 영어 모의고사 자료 > [고2] 25년 3월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35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34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33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32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30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29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24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
[고2] 2025년 3월 모의고사 23번 - 지문 구성, 그림 설명, 원문 비교 (0) | 2025.04.03 |